The Safety and efficacy of Autologous Natural Killer cell infusions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The Safety and efficacy of Autologous Natural Killer cell infusions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Lymphoma : Phase II trialNKBIO, 2006
NK Therapy
Patients
50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malignant lyphoma previously untreated NK/T cell lymphoma
NK cell infusion Autologous activated NK cell
2 x 10 cells/100 ml lV x 5 times
Duration
between 1st mar. 2006 and 31 Dec. 2006
Results
Intermediate Tumor Response Assessment
Power CR reached
QOL (quality of life)
Excellent
Reduced non-hematologic complications Side effects
Very few
"임상 2상 진행한 결과, NK 세포 치료를 받은 환자 50명 모두 전원 CR을 보임"
폐암 - 임상
A Trial of Autologous Ex vivo-expanded NK Cell-enriched Lymphocytes with Docetaxel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s Second- or Third-line Treatment: Phase IIa Study
Anticancer Res, 2013
항암 치료 후 환자 반응
환자 수 (%, 총 19명)
완전반응 (CR)
0 (0)
부분반응 (PR)
2 (10.5)
안정화 상태 (SD)
12 (63.2)
진행 (PD)
5 (26.3)
기존 항암 실패했던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게 2차 또는 3차 항암 치료로 항암제 docetaxel과 자가 NK 세포 (최소 2.0 X 109개)를 같은 날(2~6회) 투여 시, 1차 항암제 치료 실패 후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치사율이 높은데 비해 부분 반응 환자 비율 증가, 적은 부작용 보고, 무 진행 생존기간이 3배 가량 길어진 것 등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암 - 임상
Effect of NK cell immunotherapy on immune function in patients with hepatic carcinoma : A preliminary clinical study
Cancer Biology & Therapy, 2017
총 16명에 대한 전이성, 재발성 간암 2-4기 환자에 대한 동종 NK 세포 면역치료 결과 치료 3개월 후 부분반응 18.8%, 질병 안정 50.0%, 질병 진행 반응 31.2%였다. 별다른 부작용은 없었으며 무반응 생존기간은 7.5개월이었는데 NK 세포 치료 4회 이상 받은 환자가 4회 미만 치료받은 환자보다 무반응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유방암 - 임상
After total mastectomy, local recurrence of breast cancer and multiple hepatic metastases were observed
http://www.nco-clinic.jp
유방암 전체 절제 수술 후에 다발성 전이가 발생한 환자에게 항암제와 NK 세포 치료제를 같이 적용하여 치료하였을 때, 5개월 후에 산란된 전이도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고, NK 세포 비율은 치료 전 8.7%에서, 투여 10번 만에 27.6%로 3배 증가함으로써 NK 세포의 활동성도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NK 세포 치료가 항암제와 함께 사용될 때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보여준다.
대장암 - 임상
After the surgeries for colorectal cancer and lung metastasis, the third metastasis was detected in the liver, but could not be treated with surgeryhttp://www.nco-clinic.jp
대장암 수술 5개월 후에는 폐 전이, 14개월 후에는 간 전이가 발생하여 이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다.
림프절 전이가 있었기에 항암제 등 4가지를 보조 요법으로 사용하였다.
간에서 다발성 전이가 발견되어 화학 요법을 사용했지만 부작용으로 중단되었다.
항암제를 TS-1로 전환한 후, 고활성 NK 세포 치료를 시작하였다. 고활성 NK 세포 5회 투여 후, CT 영상에서는 간 전이가 대부분 사라지고 림프절 전이가 더 작아졌음을 확인하였다.